
이번 시간에는 FSC, LCC 두 사업자 그룹 간 주요 특성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차이점을 보실 때, ‘LCC는 FSC 대비
(비용을 최대한 아끼는 대신) 티켓 가격의 경쟁력을 극대화하였다’는 내용을 염두에 두고 보시면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ㅣFSC, LCC의 가장 큰 차이점 - 노선 운행 방식: 허브앤스포크와 포인트투포인트

FSC, LCC는 노선 운행 방식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입니다. FSC의 경우 운송 효율화를 위해 인천 공항 등 각 나라의 대표 공항을 주요 구심점으로, 허브 공항 간의 운송을 주로하는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방식의 운항을 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허브앤스포크' 방식은 운송 방식이 바퀴의 중심축(Hub)과 바퀴살(Spoke)의 모습을 연상시킨다고하여 그 이름이
붙었으며, 각각의 출발지(Spoke)에서 발생하는 운송량을 중심 거점(Hub)으로 모으고 재분류하여, 다시 각각의 도착지(Spoke)로 운송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허브앤스포크 방식은 적은 노선(운항기) 수로도 많은 지역에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하단 장점이 있는 반면, 내가 원하는 목적지가 인접한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허브를 거쳐 환승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합니다.
반대로 LCC들은 김해, 다낭, 간사이 등 해당 국가의 (허브 공항에 인접한) 2차 공항끼리 직항으로 운행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의 운항을 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포인트투포인트 방식은 목적지끼리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이용 편의성이 높아는 장점이 있는 반면, 허브앤스포크 방식 대비 (모든 도착지들을 1:1로 연결해야
하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운송횟수가 필요하여 수요에 따라 노선이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는 등의 변동이 심한
단점이 있습니다.

'산업분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화학 기초유분, 중간원료, 수지/제품 - 제품계통도 (0) | 2021.04.17 |
---|---|
리베이트 쌍벌제 – 개념과 제약회사가 받는 영향 (0) | 2021.04.16 |
LG전자 ODM – LG전자 MC사업부 주요 동향 (0) | 2021.04.14 |
메스프리미엄 – 스마트폰 시장 구분법과 LG전자의 새로운 시도 (0) | 2021.04.13 |
예대마진 – 정의와 주요 은행의 자금 조달 및 운용 현황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