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유산업의 벨류체인은 세부적으로는 상류부문(Upstream), 중류부문(Midstream), 하류부문(Downstream) 세 가지로 구분하며, 경우에 따라 중류부문(Midstream)을 하류부문(Downstream)에 포함하여 상류부문과 하류부문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ㅣ중류부문(Midstream) 정의
석유를 개발, 생산하여 정유공장과 같은 원유시장으로 판매하기 전까지 생산물을 전처리 또는 운반하고 저장하는 분야를 중류부문(Midstream)이라고 합니다.
석유산업의 초기에는 석유를 생산하는 석유개발회사들이 주로 파이프라인을 직접 설치하여 원유를 소비지까지 수송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산업 규모의 확대로 엔브리지, 킨더 모르간 등 전문적으로 중류부문(Midstream)에서 수송과 저장을 담당하는 회사들이 생겨났습니다.

참고로 원유의 운송 수단으로는 유조선, 송유관, 유조화차, 유조차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전량 유조선에 실려 해로로 들어오고 있으며 유조선이 우리 나라를 떠나 원유를 싣고 돌아와서 정유공장에 입고하기까지는 대략 45일이 걸린다고 합니다.
ㅣ상류부문(Upstream), 하류부문(Downstream) 정의
중류부문 외 나머지 벨류체인에 대해 알아보면, 상류부문(Upstream)은 매장된 석유를 탐사하고 충분한 양이 존재할 경우에만 개발하여 생산하는 일을 하는데, 국내 사업자 중에서는 SK이노베이션과 같은 일부 사업자만 상류부문에 진출해 있는 상황입니다.
하류부문(Downstream)은 정유공장에서의 원유 정제 뿐 아니라 플라스틱 제조와 같은 석유화학분야, 주유소에서의 휘발유 판매 등 석유산업과 관련된 모든 후방 산업을 말하는데, 크게 원유 정제, 석유화학, 판매(주유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석유산업 구조는 Downstream 비중이 가장 높으며 주요 4대 정유사 모두 원유 정제 및 판매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산업분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스프리미엄 – 스마트폰 시장 구분법과 LG전자의 새로운 시도 (0) | 2021.04.13 |
---|---|
예대마진 – 정의와 주요 은행의 자금 조달 및 운용 현황 (0) | 2021.04.12 |
크랙마진, 단순마진, 복합마진 – 원유의 정제마진(스프레드) (0) | 2021.04.11 |
자회사형 GA – 설립 배경과 동향 (0) | 2021.04.10 |
디지털손보사 – 탄생배경과 동향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