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시간에는 원유의 정제마진에 관한 다양한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원유의 정제마진(스프레드) 정의
업계에서는 원유 정제로 인한 수익성을 정제마진 혹은 스프레드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정제마진은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 제품 가격에서 운영비용과 유가 등 원자재 비용을 뺀 수치를 의미하며, 마진이라는 용어 대신 스프레드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정의에서 알 수 있듯 정제마진(정제 스프레드)이 높다는 것은 원가를 뺀 이윤이 많이 남는다는 뜻이며, 따라서 정제마진(정제 스프레드)이 오르면 정유사 영업이익도 함께 상승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ㅣ정제마진의 종류 - 단순마진, 크랙마진, 복합마진

정제마진은 구체적으로 단순마진(단순 스프레드), 크랙마진(크랙 스프레드), 복합마진(복합 스프레드) 세 종류로 구분됩니다.
단순마진이란 원유를 분해하는 1차 장치인 상압증류설비(CDU)에서 생산된 석유제품의 가중 평균 가격과 원유 도입 가격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크랙마진은 고도화 설비에 판매 가치가 낮은 중유(B-C유)를 투입하면 휘발유, 경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산출되는데 이들 제품과 원료인 중유(B-C유)의 가격 차이를 뜻합니다.
마지막 복합마진은 정유사들의 고도화 비율을 감안한 최종 제품의 가중 판매 가격과 원유 가격과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진 계산 시 가격이 높은 휘발유와 경유의 비중이 큰 크랙마진이 단순 및 복합마진에 비해 높게 형성되며, 사업자 별로 동일한 원유를 들여와 똑같은 제품을 판매하여 단순마진이 같다고 하더라도 고도화 비율이 다르므로 크랙마진과 복합마진에 있어서는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산업분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스프리미엄 – 스마트폰 시장 구분법과 LG전자의 새로운 시도 (0) | 2021.04.13 |
---|---|
예대마진 – 정의와 주요 은행의 자금 조달 및 운용 현황 (0) | 2021.04.12 |
자회사형 GA – 설립 배경과 동향 (0) | 2021.04.10 |
Midstream (중류부문)과 정유산업 벨류체인 (0) | 2021.04.09 |
디지털손보사 – 탄생배경과 동향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