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콤비나트 – 개념과 석유화학 산업의 특성

이번 시간에는 석유화학 산업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콤비나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콤비나트 개념

콤비나트란 기술적으로 연관이 있는 여러 생산부문이 근접해 입지하여 형성된 기업들의 지역적 결합체를 뜻합니다. 석유화학산업은 전형적인 콤비나트 산업인데, 일반적으로 납사분해설비를 모체로 합성수지나 합성섬유원료, 합성고무 등 각종 유도품을 제조하는 유도품 설비를 파이프로 연결시켜 원료를 공급하는 형태의 콤비나트산업을 이루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사 등이 결합하여 구성되기도 합니다.

 

ㅣ석유화학 산업이 콤비나트 산업을 이루고 있는 이유 - 규모의 경제

석유화학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 이로 인해 신규사업자의 시장진입이 쉽지 않으며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한 산업입니다. 특히 올레핀족, 방향족 등과 같은 범용제품의 경우 제품물성의 차별화가 어려운 제품으로 순도 등 일정한 물리적 특성을 만족시키면 가격과 납기가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가 되기에,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는 매우 중요한 산업 경쟁력 중 하나입니다. 이로 인해 콤비나트 형성을 통해 원재료의 확보, 생산의 집중화, 유통과정의 합리화 등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있습니다.

 

ㅣ석유화학 산업의 또 다른 특성 -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효과

석유화학산업은 기초소재 산업으로 중간재 성격을 띄는 재화의 특성상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효과가 중요한데, 사업자들의 실적은 전방 산업의 수요와 제품 공급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또한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산업 특성상 제품별 수요의 증가량과 생산능력의 증가량 사이에 반복적인 불일치가 발생하기 쉬운데, 수요 증가량에 비하여 공급량이 작을 때는 산업의 수익성이 상승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수익성이 하락하는 경향을 갖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