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이드헤일링, 카셰어링 – 차량공유의 개념과 미래에 가져올 변화

ㅣ라이드헤일링, 카셰어링(차량공유)의 개념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동차를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재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활용되는 시간보다 주차장에 주차된 시간이 더 길어 공실률이 높은 호텔과도 같은 상황입니다. 우버, 그린카 등 이미 이 문제에 주목한 사업자들이 존재하며, 현재 시장에서는 라이드헤일링과 카셰어링 두 종류의 차량공유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라이드헤일링이란 개인 소유의 차를 택시 형태로 이용하고, 사업자들은 이를 위한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우버 등이 대표 사업자입니다. 카셰어링은 사업자가 소유한 차를 사용자들이 시간 단위로 공유하는 것으로 쏘카, 그린카 등이 주요 사업자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ㅣ라이드헤일링, 카셰어링(차량공유)시장의 경쟁 양상

라이드헤일링 등 차량공유시장은 현재까지 우버 등과 같은 전문 플랫폼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완성차 제조업체들의 경우, 차량공유시장이 가져올 변화에 대비해 관련 기업들을 인수 합병하거나, 투자를 확대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ㅣ라이드헤일링, 카셰어링(차량공유)가 가져올 변화

전기자동차가 차량의 심장을, 자율주행자동차가 차량의 두뇌에 있어 패러다임을 변화했다면 라이드헤일링과 같은 차량 공유는 자동차의 거래와 이용 방식에 있어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앞서 현재의 상황을 공실률이 높은 호텔로 비유했는데 차량공유의 확산은 호텔의 수는 줄이고 공실률은 높이는 변화를 뜻하기에 단기적으로는 완성차 제조업체들의 차량 판매량 감소를 야기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일반 소비자들의 차량 구매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켜 전통적인 B2C 차량 판매 방식의 붕괴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향후에는 완성차 제조사들이 스스로 생산한 자동차를 공유하고 사용료를 받는 방식(차량 공유에 있어 Dominant platform 기업화)이 되거나 플랫폼을 장악한 사업자들에게 B2B 형태로 자동차를 납품하는 방식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