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험사 제판분리 – GA 및 온라인 채널 성장에 대한 대응

이번 시간에는 보험사 제판분리의 정의와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보험사 제판분리 정의

보험사 제판분리(제조-판매 분리)란 보험의 제조와 판매 채널을 분리하는 것으로 보험사는 상품 개발과 자산운용을

맡고, 상품 판매는 보험사 법인대리점 자회사(GA)가 전담하도록 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ㅣ보험사 제판분리 배경

보험사 제판분리 배경에는 GA 및 온라인(CM) 채널의 성장으로인한 상품 통제력 약화가 있습니다.

 

GA(General Agency)란 특정 보험사에 소속되지 않고 여러 보험사의 상품을 파는 독립 대리점으로보험 백화점이라고도 불립니다. GA 2000년대 초반 등장하여 '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보험사들이 전속채널 운영 효율화를 위해

저능률 설계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지속하면서 해당 인력들이 GA 업계로 대거 유입되며 새로운 유통 채널로

성장했습니다. GA 등장 초기에만 해도 중소형 보험사들이 취약한 전속 조직 기반을 극복하기 위해 이 채널을

활용했으나, 최근에는 대형 GA가 탄생하면서 생/손해보험사 모두의 핵심 판매 채널로 자리잡았습니다.

 

GA의 성장으로 보험사의 판매 채널 통제력이 약화되었는데, 보험사에 소속된 전속 설계사가 자사의 상품만을

판매했다면 GA는 다양한 업체의 상품을 취급하고 있기에 최종 고객에게 도달하기 전 설계사의 선택을 받기 위해 한 번 더 경쟁을 거쳐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GA 및 온라인 채널 대응 - 보험사 제판분리와 자회사형 GA 설립

자회사형 GA 설립에는 오프라인 채널이 여전히 중요도가 높은 생명보험사들이 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년 말 기준 7개의 생명보험사가 자회사형 GA를 운영 중에 있으며, NH농협생명 등도 자회사형 GA설립을 검토 중임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한편 한화생명, 미래에셋생명은 자회사형 GA 설립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자사의 전속 설계사 조직도 분사하는 보험사

제판분리(보험의 제조-판매 분리)도 검토 중인데, 보험사들은 자회사GA 설립으로 전속 설계사 이탈을 막고 대형 GA

견제를 통해 채널 영향력을 되찾으려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