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자동차 2025 전략 – 산업 메가트렌드에 대한 대응전략

 

현대자동차는 미래 대응 방향성으로 현대자동차 2025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여기에는 전사 구조를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과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 2대 사업 구조로 전환하여 2025년 3대 전동차 제조기업으로 도약하고 플랫폼 서비스 사업에서도 수익 창출의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 포함되어 있는데, 산업 메가트렌드의 각 꼭지 별로 현대자동차 2025 전략 동향이 어떻게 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ㅣ 전기자동차(친환경자동차)

전기자동차 부문에서 현대자동차는 2025년까지 글로벌 3대 전동차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이를 위해 현재 15종인 친환경차를 44종으로 늘릴 예정이며, 종류 별로는 하이브리드 13종과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6종, 전기차 23종, 수소전기차 2종을 출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한편 현대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의 주력 시장으로 삼은 대상국가는 유럽인데, 유럽 시장은 현재 글로벌 시장 중 가장 강력하게 CO2 배출량 규제를 부과하고 있어 전기차 판매량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입니다.

 

 

ㅣ 자율주행

현대자동차 2025 전략에는 자율주행과 관련된 로드맵인 '안전 지향 자율주행'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전 지향

자율주행’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2025년까지 자율주행 2·3단계 및 주차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기술을

차종으로 확대하고, 2022년 완전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및 2024년 양산 추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업과의 협력도 확대하고 있는데 글로벌 ‘톱3’ 자율주행소프트웨어(SW)업체인 아일랜드의 앱티브와 협력 투자하여 2022년까지 4단계 자율주행 시스템을 선보인다는 목표도 밝힌 바 있습니다.

 

ㅣ 차량공유

차량공유 및 장기적 관점에서 그로 인한 완성차 판매 매출의 간접적 영향에 대해서는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사업과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양대 축으로 준비 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