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석 이야기

예대마진 – 정의와 주요 은행의 자금 조달 및 운용 현황

Kay_D 2021. 4. 12. 09:41

 

 

ㅣ예대마진의 정의

예대마진은 고객으로부터 돈을 받고 지급하는 예금금리와 고객에게 대출을 해주고 지급받는 대출금리의 차익을 뜻하며, 은행법으로 정한 자금의 중개라는 금융기관의 본질적인 기능에 따른 업무이자 은행의 수익원인 이자수익과 관련됩니다.

 

예대마진과 관련된 이자수익에 대해 아래의 그림을 토대로 좀 더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l 그림. 예대마진: 이자수익 구성

 

 

A라는 사람이 100만원의 현금을 보유하고있다고 가정합시다. A는 재테크의 목적으로 100만원을 주식에 투자하거나, 연금보험에 가입하는 등 다양한 선택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 입장에서는 A고객의 100만원을 유치하기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한데, 이를 예금이자로 제공합니다.

 

A로부터 100만원의 자금을 유치한 은행은 A에게 지급할 예금이자를 확보하기 위해서 B에게 100만원을 대출해줍니다. 이때 만약 A에게 100만원에 대한 예금이자로 2%를 지급하고, B로부터 대출에 대한 이자로 4%를 제공받는다면 은행은 ‘104만 원 – 102만 원 = 2만 원’에 대한 예대마진을 수익으로 갖게 됩니다.

 

 

이처럼 예대마진을 이해하려면 이자수익 관점에서 각 사업자(그룹)들이 돈을 어디에서 조달하고 조달한 돈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 지를 눈 여겨 봐야합니다.

 


ㅣ예대마진의 예금측면 - 주요 사업자 그룹 별 자금 조달 현황

 

 

 

<표>에서 알 수 있듯 대부분의 은행이 원화자금 중 예수금을 통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예수금’이란, 일반 고객들이 예금, 적금 등의 목적으로 입금한 돈을 뜻합니다.)

 

 

ㅣ예대마진의 대출측면 - 주요 사업자 그룹 별 자금 운용 현황

 

 

 

<표>를 통해 대부분의 은행이 대출로 자금을 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시중은행의 경우 대출금 회수 리스크 관리를 위해 가계 대상 담보대출과 우량 기업 위주의 선별적 기업대출로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균형 잡힌 모습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