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폼팩터 – 고급형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경쟁 양상

Kay_D 2021. 3. 31. 10:05

 

이번 시간에는 폼팩터의 정의와 폼팩터 경쟁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폼펙터 정의

폼팩터란 제품의 물리적 외형을 뜻하는 말로 원래는 컴퓨터 하드웨어 규격을 지칭하는 용어지만 최근에는스마트폰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ㅣ폼팩터 경쟁의 배경 고급형 스마트폰 시장의 정체

스마트폰의 구분법에 대해 합의된 기준이 없어 분석업체 별로 분류가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제품 출고가 금액대에 따라 고급형(또는 플래그십, 하이엔드, 프리미엄), 중급형(또는 미드레인지), 보급형(또는 로우엔드)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017년 정점을 찍은 뒤 정체된 모습을 보이나 그 안에서의 다이나믹스 변화는 큰 편입니다. ‘06 42%에 달하던 고급형(고가, 300달러 이상) 스마트폰의 비중이 ‘18 26.6% 15.4%p 감소하여 중~보급형 스마트폰이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고급형 스마트폰 비중 축소 원인으로는 주요 선진국들의 높아진 스마트폰 보급률로 인한 성장 둔화와 스마트폰 교체 주기의 장기화 추세가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교체 주기 증가에 대해 다수의 분석 기관이 지목하는 핵심 원인은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혁신의 부재입니다. 주요 제조사들이 1년 단위로 새로운 고급형 모델을 출시하고 있으나 RAM, 저장 장치 용량 등 일부 스펙의 변화만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 혁신이라고 느낄 만한 요소가 부족하여, 신제품 구매를 꺼려 하거나 보류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ㅣ주요 사업자 동향

애플은 아케이드 게임, 애플TV+ 등 단말이 판매 외에 가입형 콘텐츠 서비스를 추가해 수입원을 다각화하는 모습이나,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폼팩터(제품 형태)의 혁신으로 정면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책처럼 접히는 형태의갤럭시 폴드를 시작으로 폴더블폰 형식의갤럭시 Z플립등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획일화된 외관의 스마트폰에 혁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