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반도체 IDM, 팹리스, 파운드리 - 제조 형태별 분류

Kay_D 2021. 3. 30. 10:16

이번 시간에는 제조 형태에 따른 반도체 사업자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도체 제조업에 속한 주요 사업자들은 제조 형태와 생산하는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구분이 가능합니다. 반도체 IDM,

팹리스, 파운드리 등 반도체 관련 기사를 찾아보면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반도체

사업자들을 제조 형태별로 분류한 것으로, 업계에서 제조 형태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l . 반도체 IDM, 팹리스, 파운드리 - 제조 형태별 사업자 분류

 

제조 형태별 사업자의 분류는 크게 설계와 생산을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우리가 쓰는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CPU, SD카드 등을 보면 매우 작은 크기의 칩이 발휘하는 성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반도체는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생산하는 것 또한 매우 정교한 기술력을 요구하므로 시장이 위의 두 축을 기준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설계와 생산 난이도는 반도체 제품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이로 인해 제품별 반도체 IDM-팹리스-파운드리

사업자 간 경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종류도 적은 특징을 보여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IDM 사업자들이 설계와 생산을 병행하며 대량생산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는

특징을 보이는 반면, 비메모리 반도체는 복잡도가 높고 종류도 다양하여 반도체 IDM 사업자보다는 팹리스와 파운드리 사업자간 분업과 협업의 생태계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편 반도체 IDM, 팹리스, 파운드리 외에도 반도체 후공정을 전문으로 하는 패키징&테스트 회사를 더 세분하여

구분하기도 합니다.